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행렬
- Mac konlpy
- 정수인코딩
- Filter
- 노마쌤과 즐거운 영어 습관
- 인덱스
- 클러스터링기법
- 웹폰트
- 프로토콜
- 유의수준
- 함수
- 파이썬
- NLP
- DOMAPI
- Ajax
- 벡터
- HTML
- CSS
- DOM
- 자기지도학습
- 신뢰구간
- 매일영어습관
- EC2
- 노트list
- Ajax프레임워크
- R
- 명령어
- JS
- 질의확장
- 노마쌤
- Today
- Total
목록신뢰구간 (2)
채니의 개발일기

구간추정 - 표본을 활용해 모집단을 추정하는 과정 신뢰구간 - 모평균을 구간 추정할 때는 표본평균을 기준으로 하고, 그 주변에 오차범위를 더하거나 빼서 신뢰구간을 구한다. 신뢰구간 = (평균 - 1.96 * 표준편차, 평균 + 1.96 * 표준편차) P(-zα/2 ≤ Z ≤ zα/2) = 1 - α P(-zα/2 ≤ X - μ ≤ zα/2) = 1 - α/σ P(X - zσ ≤ μ ≤ X + zσ) = 1 - α*(σ/n)*zα/2 𝑝(−𝑧𝛼/2 ≤ 𝑍 ≤ 𝑧𝛼/2)=1 − 𝛼: 이 공식은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𝑍에 대한 신뢰구간을 나타냅니다. 𝑍는 표준화된 표본평균이고, 𝛼는 유의수준입니다. 𝑧𝛼/2는 표준정규분포에서 양쪽 꼬리에 있는 확률이 𝛼/2인 점의 𝑧값입니다. 예를 들어, 95% 신뢰..

통계적 의사결정 가설검정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이론적 도구 연구자나 데이터 분석가가 분석의 구체적인 목적을 설정하고, 그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 가설검정은 통계적 추론을 수행하여 데이터로부터 얻은 결과가 우연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의미 있는 패턴이나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 가설의 두가지 종류 귀무가설: 기본적으로 참으로 여겨지는 가설로, 어떤 차이나 효과가 없다고 가정 ex)광고로 인한 매출상승은없음 대립가설: 연구자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로, 귀무가설이 거짓이라고 가정하며, 데이터로부터 특정한 차이나 효과를 지지하는 증거를 찾는다 ex) 광고로인한 매출상승 존재 -> 가설검증은 귀무가설을 사실이라 가정한 후 귀무가설이 틀렸는지 증거를 찾는 과정 1종오류, 2종오류 1종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