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프로토콜
- 질의확장
- Filter
- 노마쌤과 즐거운 영어 습관
- Ajax
- Mac konlpy
- 신뢰구간
- DOM
- 자기지도학습
- NLP
- 행렬
- 인덱스
- 노트list
- 클러스터링기법
- DOMAPI
- 파이썬
- 유의수준
- CSS
- HTML
- R
- 매일영어습관
- JS
- 정수인코딩
- 노마쌤
- 명령어
- 벡터
- Ajax프레임워크
- 웹폰트
- 함수
- EC2
- Today
- Total
목록명령어 (2)
채니의 개발일기
응용 SW기초 기술 활용 운영체제 - 정의: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- 목적: 컴퓨터의 처리능력 향상, 사용 가능도 향상, 신뢰도 향상, 반환시간 단축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자원을 관리 처리능력 향상: 운영체제는 프로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작업의 처리 속도와 성능을 향상 사용가능도 향상: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자원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 신뢰도향상: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. 예를 들어, 에러 처리와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 오류나 장애 상황에서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 반환 시간 단축: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과 작업의 우선순위 설정을 통해 작업의 반환 시간을 최소화 - 운영체..

코드관리 - 깃허브 사용법 및 프로젝트 생성 git: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 코드를 올려넣고 내려받거나 수정, 반영가능 -> 협업이 쉽게 가능해짐(코드수정, 코드merge) ***git hub 기본적이 명령어 git init : 현재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 git add: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(스테이징 영역은 커밋하기 전에 변경사항을 임시로 저장하는 곳) git commit: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파일들을 커밋 (커밋은 프로젝트의 이력을 기록하는 것) git push : 로컬 저장소의 커밋들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(원격 저장소는 인터넷에 있는 공유된 저장소) git pull :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로컬 저장소에 다운로드하고 병합. 다른 사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