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배포란?
배포 : 내 웹사이트를 전세계에 공개 하는 것(=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후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)
- 전세계 네트워크와 특정주소(IP)로 연결된 컴퓨터(서버컴퓨터)에 내 웹 사이트를 설치(웹페이지 또는 서버)하여 사람들이 특정 주소 (도메인)로 들어오면 내가 만든 사이트가 보이게 하는것
- 예를 들어, 웹사이트를 만들었다면,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웹사이트 파일을 올리는 것이 배포이다.
- 배포과정 : 호스팅 -> IP공개 -> 도메인연결
호스팅: 서버컴퓨터를 임대하여 웹사이트 구축 -> 웹사이트를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
IP 공개 : 웹사이트가 호스팅되는 서버 컴퓨터의 고유한 주소를 인터넷에 알리는 것
도메인 연결이 : 웹사이트의 IP 주소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문자로 된 이름으로 바꾸는 것
- 분석과정 : 트래픽(몇시에 어디서, pc or Mobile인가? )-> 구글 에널리스트 활용
*** 중요용어
1. URL : 웹상에서 문서, 이미지, 동영상 등의 자원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(= 웹페이지를 찾기위한 주소)
https:// www.naer.com:80 ?key=value
- 프로토콜 (https,http등 ):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(protocool),약속
• http는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고, https는 보안에 신경 쓴 http 프로토콜
• http : 일반적으로 사용 -> htttp:80(80포트는 겉으로 들어나지않는다)
• https: 보안에 신경쓴 프로토콜 -> https:433
- 서브도메인(www) :도메인 이름의 일부로, 웹사이트의 다양한 부분을 구분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
• www.sub.mypage.etc 등 다양한 키워드 설정가능
• 다른 IP 주소나 서버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, 웹사이트의 부하를 분산시키거나 보안을 강화
• 서브도메인은 검색엔진 최적화(SEO)에도 도움
- 도메인(DNS = Domain name systems) :인터넷 상에서 자원들이 위치한 서버의 이름
(= 내 서버 주소를 쉽게 부르기 위해 구매해서 연결한 이름 )
• www.naver.com은 네이버의 도메인
• 내 서버주소 == IP(123.123.123.123) == 임대한 컴퓨터의 네트워크 주소
*** 서버 주소 == P(Internet Protocol) 주소 ==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의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
• DNS는 도메인이름(naver.com) 을 IP주소(123.123.123123)로 변환
***123.123.123.123 == 예시 IP주소
- 포트 : 서버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나 프로토콜에 접속하기 위한 번호
• 어떤 통신을 하냐에 따라 포트번호는 다양
20 : FTP(data) 21: FTP(제어) 22:SSH 53:DNS 80:월드 와이드 웹,HTTP 119:NNTP 443: TLS/SSL 방식읜 HTTP |
- 쿼리(key=value ) :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, 웹 서버에 특정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웹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처리
• 쿼리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한 주제어나 어귀를 찾기 위해 사용
•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이라는 데이터베이스용 언어를 사용
**** SQL은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가 호환되는 표준 언어로, 데이터를 조회, 입력, 수정, 삭제 등의 작업
- 호스팅: 웹사이트를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임대해주는 서비스